재벌 총수들의 과도한 보수: 현대차그룹 정의선 회장의 사례를 중심으로
현대차그룹 정의선 회장이 기아로부터 보수를 받는 문제를 둘러싸고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이와 관련해 경제개혁연대는 지난 20일 국민연금을 비롯한 주주들에게 강경한 입장을 촉구하며 정의선 회장의 보수 지급에 대한 반대 의결권행사를 권고했습니다. 이는 단순히 한 기업의 내부 문제로 치부될 수 없는, 보다 넓은 경제적, 사회적 맥락을 담고 있는 중요한 이슈입니다.
정의선 회장의 보수 문제에 대한 시선
현대자동차그룹의 세 계열사(현대차, 현대모비스, 기아)를 대표하는 정의선 회장은 2021년부터 2023년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한 보수를 받으며, 이사회 출석률 등의 활동과의 연관성을 두고 비판의 중심에 서 있습니다. 경제개혁연대는 정 회장이 각 계열사에 전념할 수 없는 현실에도 불구하고 매년 증가하는 보수 수준이 “성과를 넘어선 과도한 지급”이라고 지적하고 있습니다.
특히 기아에서 받은 보수 결정에 대해서, 회사 측에서는 “역대 최대 실적”과 “책임경영 강화를 위한 조치” 등을 내세웠지만, 이에 대한 신뢰성은 여전히 의문점으로 남아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이는 정의선 회장이 현대차, 현대모비스, 그리고 기아 이사회에 상근 이사로서의 근무 의무를 다했다고 보기 어렵다는 주장으로 이어집니다.
또한 이사회 출석률을 분석한 결과, 정의선 회장의 기아 이사회 평균 출석률은 약 61%에 불과합니다. 한편, 현대차와 현대모비스 역시 마찬가지로 충분한 활동성과를 입증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습니다.
재벌들의 다중 겸직과 다수 보수 수령 문제
정의선 회장의 사례는 대한민국 재벌 총수들이 겪는 전형적인 문제점을 반영합니다. 경제개혁연대의 논평에 의하면, 대다수 대기업 총수들은 평균적으로 두 곳 이상의 계열사를 겸직하며 이러한 기업들로부터 보수를 중복 수령합니다. 이 중 롯데 신동빈 회장의 경우는 무려 7개의 계열사에서 보수를 받고 있다는 사실이 알려졌습니다. 이러한 과정에서 대중이 느끼는 의문과 불만은 단순히 ‘대가 없이 받아가는 보수의 문제’가 아니라 회사 경영진의 투명성과 윤리적 책임에 대한 기본 신뢰를 뒤흔들게 만듭니다.
특히 정의선 회장의 보수 규모는 그룹 내 사내이사 중 두 번째로 많은 수령자보다 최소 2배 이상의 금액을 초과하며, 퇴직 소득만 제외되었을 뿐 별도 설명이나 근거는 불충분한 상황입니다. 반면, 현대캐피탈, 현대카드 등에서 활동 중인 다른 사내이사들은 보수를 별도로 수령하지 않는다는 점 역시 대조적으로 부각됩니다.
경제개혁연대의 주장: 반대 의결권과 보수심의제 도입
경제개혁연대는 이번 논란을 계기로 주주들에게들 이사 보수한도를 승인하는 정기 주총에서 반대 의결권을 행사할 것을 강하게 촉구하고 있습니다. 또한, 보수 지급 과정을 투명하게 공개하는 정관 제도인 ‘보수심의제(Say on Pay)’의 도입 필요성을 적극적으로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는 경영진의 보수 지급 과정이 주주 의결권을 통해 보다 공정한 절차를 거치도록 보장하겠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더불어 이 문제는 정의선 회장 개인만이 아니라, 여러 대기업 총수일가의 보수 체계 전반에 대한 점검과 정비의 필요성을 제기합니다. 국가적으로도 한국 경제 전반과 글로벌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만큼, 이를 단기적 논란이 아닌 장기적인 경제 구조 개선의 기회로 삼아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보수 문제와 앞으로의 변화 방향
이번 경제개혁연대의 제안은 현대차그룹의 구조적 문제뿐만 아니라, 재벌 경영 체제 전반의 투명성과 지속 가능성을 고민하게 합니다. 또한 현대차를 포함한 대기업에서 필요한 것은 단순히 실적 향상뿐만 아니라, 경영진 보수 체계와 관련된 통찰력 있는 전략적 사고일 것입니다.
결국 기업 경영에서 주주와의 신뢰는 핵심 요소입니다. 이러한 신뢰를 무너뜨리는 고액 보수 문제와 다중 겸직 현상은 단편적인 해결로 끝나지 않아야 할 것입니다. 국민연금과 같은 주요 투자자들은 이번 사례를 경각심의 기회로 삼고, 의결권 행사 등을 통해 미래를 위한 지속 가능한 변화를 이끌어 나가야 합니다.
궁극적으로, 기업은 그 성과를 정당하게 대변할 수 있는 보수 체계를 마련하고, 이를 투명하게 운영하여 경영진의 한계를 극복해야 합니다. 앞으로 정의선 회장과 현대차그룹이 이 방향성을 어떻게 풀어갈지 귀추가 주목됩니다.